5세대이동통신(5G)·블록체인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, 국민에게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미리 알려주고 신속히 처리해주는 똑똑한 정부 구현
모바일 신분증 등에 기반한 올 디지털(All-Digital) 민원처리, 국가보조금·연금 맞춤형 안내 등 비대면 공공서비스 제공
복지급여 중복 수급 관리, 부동산 거래, 온라인 투표 등 국민체감도가 높은 분야 블록체인 기술 적용 시범·확산
전(全)정부청사(39개 중앙부처) 5세대이동통신(5G) 국가망 구축 및 공공정보시스템을 민간·공공 클라우드센터 이전·전환
국회·중앙도서관 소장 학술지·도서 등 디지털화, 국제학술저널 구독 확대
현재 상황 | |
---|---|
“정부서비스에 신분증·종이 증명서 필요, 내·외부망 분리된 유선망 중심 업무환경” |
|
성과지표 | ’20년 |
공공서비스 디지털 전환 | 대면업무 중심의 공공서비스 |
5G 국가망 | 유선망 중심 업무환경 |
행정·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| 17%(정보화 H/W 22.4만대 중 3.9만대) |
미래 모습 | |
---|---|
“모바일 인증으로 종이를 쓰지 않는(Paperless) 정부서비스, 언제·어디서든 스마트 오피스(Smart Office) 구현” |
|
’22년 | ’25년 |
주요 공공서비스 중 50% 디지털 전환 | 80% 이상 디지털 전환 |
5G 기반 무선망 선도도입 | 전(全) 정부청사에 5G 기반 무선망 구축 |
50% | 100%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