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염병 위험으로부터 의료진ㆍ환자를 보호하고, 환자의 의료 편의 향상을 위해 디지털 기반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구축
입원환자 실시간 모니터링, 의료기관간 협진이 가능한 5세대이동통신(5G), 사물인터넷(IoT) 등 디지털 기반 스마트병원 구축(18개)
호흡기·발열 증상을 사전확인ㆍ조치하고 내원 시 안전진료가 가능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 설치
간질환, 폐암, 당뇨 등 12개 질환별 인공지능 정밀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ㆍ실증(닥터앤서 2.0) 추진
현재 상황 | |
---|---|
“불충분한 인프라로 비대면 의료서비스 활용 한계” | |
성과지표 | ’20년 |
신(新)의료 모델 | 스마트병원 기반 미흡 |
감염병 대응인프라 | 호흡기전담 진료체계 미비 |
AI 기반 정밀의료 | AI 진단 기반 미흡 |
미래 모습 | |
---|---|
“스마트 의료 인프라 확충으로 비대면 의료서비스 기반 구축” | |
’22년 | ’25년 |
스마트병원 모델 9개 | 스마트병원 모델 18개 |
호흡기전담클리닉 1천개 | 호흡기전담클리닉 1천개 |
8개 질환 AI 진단 | 20개 질환 AI 진단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