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양광ㆍ풍력(육상·해상)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대규모 연구개발(R&D)·실증사업 및 설비 보급 확대
대규모 해상풍력단지(고정식·부유식) 입지발굴을 위해 최대 13개 권역의 풍황 계측·타당성 조사 지원, 배후·실증단지 단계적 구축
주민참여형 이익공유사업 도입, 농촌·산단 융자지원 확대, 주택·상가 등 자가용 신재생설비 설치비 지원
생산부터 활용까지 전(全)주기 원천기술 개발 및 수소도시 조성
석탄발전 등 사업축소가 예상되는 위기지역 대상 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 지원*
* 그린 모빌리티,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관리, 해상풍력 설치 플랫폼 등
현재 상황 | |
---|---|
“석탄발전 중심의 온실가스 대량(多)배출 국가” | |
성과지표 | ’20년 |
재생에너지 발전용량 (태양광, 풍력) | 12.7GW(’19) |
수소 원천기술 | 기초수준 연구 |
하천수 냉난방기술 표준 | - |
미래 모습 | |
---|---|
“신재생에너지 확산 및 다각화로 저탄소ㆍ친환경 국가로 도약” | |
’22년 | ’25년 |
26.3GW | 42.7GW |
- | 원천기술 보유(’26) |
시험평가기준마련(’23) | - |